
고용노동부에서는 기간별로 산업재해현황에 대해서 자료를 구체적으로 게시하고 있습니다.
https://www.moel.go.kr/policy/policydata/view.do?bbs_seq=20240801341
아래는 개요에 관하여서 기재하오니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.
최다 산업재해 사고 사망자는 건설업입니다.
재해율: 0.32%(전년 동기 대비 동일)
- 사고재해율: 0.26%(전년 동기 대비 동일)
- 질병재해율: 0.06%(전년 동기 대비 0.01%p 증가)
재해자수: 68,413명(전년 동기 대비 2,140명(3.2%) 증가)
- 사고재해자수: 55,764명(전년 동기 대비 892명(1.6%) 증가)
- 질병재해자수: 12,649명(전년 동기 대비 1,248명(10.9%) 증가)
주요 특징
○ 사고사망자
- 건설업(166명, 41.6%), 5인~49인 사업장(177명, 44.4%), 60세 이상 근로자 (194명, 48.6%), 떨어짐(150명, 37.6%)이 가장 많이 발생
- 업종
·감소: 기타의사업(-15명), 건설업(-5명), 광업(-1명), 전기·가스·증기및수도사업(-1명), 어업(-1명)
·증가: 제조업(+16명), 운수창고통신업(+14명)
·동일: 임업, 농업, 금융및보험업
- 규모
·감소: 5인~49인(-12명), 50인~99인(-7명), 1,000인 이상(-5명)
·증가: 5인 미만(+15명), 100인~299인(+5명), 300인~999인(+11명)
- 재해유형
·떨어짐(150명, 37.6%), 끼임(51명, 12.8%), 교통사고(44명, 11.0%), 부딪힘(30명, 7.5%), 깔림·뒤집힘(27명, 6.8%) 순
·감소: 부딪힘(-10명), 물체에맞음(-10명), 무너짐(-5명), 깔림·뒤집힘(-2명), 떨어짐(-1명)
·증가: 끼임(+16명), 넘어짐(+8명), 화재·폭발·파열(+5명), 교통사고(+3명)
·동일: 절단·베임·찔림, 무리한동작
○ 질병사망자
- 광업(226명, 35.6%), 5인~49인 사업장(207명, 32.6%), 60세이상 근로자(346명, 54.6%), 진폐(245명, 38.6%)가 가장 많이 발생
- 업종
·감소: 제조업(-19명)
·증가: 광업(+34명), 건설업(+12명), 운수창고통신업(+12명), 기타의사업(+4명), 금융및보험업(+4명), 전기·가스·증기및수도사업(+1명), 임업(+1명), 농업(+1명)
·동일: 어업
- 규모
·감소: 1,000인 이상(-11명)
·증가: 5인 미만(+7명), 5인~49인(+18명), 50인~99인(+15명), 100인~299인(+15명), 300인~999인(+6명)
- 질병종류
·진폐(245명, 38.6%), 뇌심질환(198명, 31.2%), 직업성암(103명, 16.2%) 순
·감소: 유기화합물중독(-5명)
·증가: 진폐(+31명), 뇌심질환(+13명), 직업성암(+3명)
·동일: 난청, 금속및중금속중독, 기타화학물질중독, 신체부담작업, 요통
○ 재해자
- 기타의사업(25,328명, 37.0%), 5인~49인 사업장(27,125명, 39.6%), 60세 이상 근로자(25,990명, 38.0%), 넘어짐(14,119명, 20.6%)이 가장 많이 발생
- 업종
·감소: 제조업(-364명), 임업(-57명), 전기·가스·증기및수도사업(-18명)
·증가: 운수창고통신업(+1,530명), 건설업(+603명), 기타의사업(+392명), 농업(+27명), 광업(+20명), 어업(+5명), 금융및보험업(+2명)
- 규모
·감소: 5인~49인(-1,075명), 50인~99인(-121명), 100인~299인(-15명)
·증가: 5인 미만(+2,690명), 300인~999인(+359명), 1,000인 이상(+302명)
- 재해유형
·넘어짐(14,119명, 20.6%), 떨어짐(7,024명, 10.3%), 끼임(6,410명, 9.4%),부딪힘(5,216명, 7.6%), 절단·베임·찔림(4,858명, 7.1%) 순
·감소: 넘어짐(-346명), 물체에맞음(-160명), 끼임(-58명)
·증가: 부딪힘(+411명), 교통사고(+333명), 무리한동작(+278명), 절단·베임·찔림(+208명), 떨어짐(+107명), 깔림·뒤집힘(+59명), 무너짐(+7명), 화재·폭발·파열(+3명)
○ 사고재해자
- 기타의사업(22,741명, 40.8%), 5인~49인 사업장(22,407명, 40.2%), 60세 이상 근로자(18,082명, 32.4%), 넘어짐(14,119명, 25.3%)이 가장 많이 발생
- 업종
·감소: 건설업(-784명), 제조업(-190명), 임업(-71명), 전기·가스·증기및수도사업(-18명), 광업(-11명)
·증가: 운수창고통신업(+1,502명), 기타의사업(+425명), 금융및보험업(+19명), 농업(+17명), 어업(+3명)
- 규모
·감소: 5인~49인(-1,773명), 50인~99인(-147명), 100인~299인(-278명)
·증가: 5인 미만(+2,213명), 300인~999인(+264명), 1,000인 이상(+613명)
- 재해유형
·넘어짐(14,119명, 25.3%), 떨어짐(7,024명, 12.6%), 끼임(6,410명, 11.5%),부딪힘(5,216명, 9.4%), 절단·베임·찔림(4,858명, 8.7%) 순
·감소: 넘어짐(-346명), 물체에맞음(-160명), 끼임(-58명)
·증가: 부딪힘(+411명), 교통사고(+333명), 무리한동작(+278명), 절단·베임·찔림(+208명), 떨어짐(+107명), 깔림·뒤집힘(+59명), 무너짐(+7명), 화재·폭발·파열(+3명)
○ 질병재해자
- 제조업(4,177명, 33.0%), 5인~49인 사업장(4,718명, 37.3%), 60세 이상 근로자(7,908명, 62.5%), 신체부담작업(4,444명, 35.1%)이 가장 많이 발생
- 업종
·감소: 제조업(-174명), 기타의사업(-33명), 금융및보험업(-17명)
·증가: 건설업(+1,387명), 광업(+31명), 운수창고통신업(+28명), 임업(+14명), 농업(+10명), 어업(+2명)
·동일: 전기·가스·증기및수도사업
- 규모
·감소: 1,000인 이상(-311명)
·증가: 5인 미만(+477명), 5인~49인(+698명), 50인~99인(+26명), 100인~299인(+263명), 300인~999인(+95명)
- 질병종류
·신체부담작업(4,444명, 35.1%), 난청(3,038명, 24.0%), 요통(2,795명, 22.1%) 순
·감소: 뇌심질환(-15명), 금속및중금속중독(-12명)
·증가: 신체부담작업(+832명), 요통(+280명), 난청(+182명),진폐(+143명), 직업성암(+35명), 기타화학물질중독(+35명),유기화합물중독(+1명)
고용노동부에서는 기간별로 산업재해현황에 대해서 자료를 구체적으로 게시하고 있습니다.
https://www.moel.go.kr/policy/policydata/view.do?bbs_seq=20240801341
아래는 개요에 관하여서 기재하오니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.
최다 산업재해 사고 사망자는 건설업입니다.
재해율: 0.32%(전년 동기 대비 동일)
- 사고재해율: 0.26%(전년 동기 대비 동일)
- 질병재해율: 0.06%(전년 동기 대비 0.01%p 증가)
재해자수: 68,413명(전년 동기 대비 2,140명(3.2%) 증가)
- 사고재해자수: 55,764명(전년 동기 대비 892명(1.6%) 증가)
- 질병재해자수: 12,649명(전년 동기 대비 1,248명(10.9%) 증가)
주요 특징
○ 사고사망자
- 건설업(166명, 41.6%), 5인~49인 사업장(177명, 44.4%), 60세 이상 근로자 (194명, 48.6%), 떨어짐(150명, 37.6%)이 가장 많이 발생
- 업종
·감소: 기타의사업(-15명), 건설업(-5명), 광업(-1명), 전기·가스·증기및수도사업(-1명), 어업(-1명)
·증가: 제조업(+16명), 운수창고통신업(+14명)
·동일: 임업, 농업, 금융및보험업
- 규모
·감소: 5인~49인(-12명), 50인~99인(-7명), 1,000인 이상(-5명)
·증가: 5인 미만(+15명), 100인~299인(+5명), 300인~999인(+11명)
- 재해유형
·떨어짐(150명, 37.6%), 끼임(51명, 12.8%), 교통사고(44명, 11.0%), 부딪힘(30명, 7.5%), 깔림·뒤집힘(27명, 6.8%) 순
·감소: 부딪힘(-10명), 물체에맞음(-10명), 무너짐(-5명), 깔림·뒤집힘(-2명), 떨어짐(-1명)
·증가: 끼임(+16명), 넘어짐(+8명), 화재·폭발·파열(+5명), 교통사고(+3명)
·동일: 절단·베임·찔림, 무리한동작
○ 질병사망자
- 광업(226명, 35.6%), 5인~49인 사업장(207명, 32.6%), 60세이상 근로자(346명, 54.6%), 진폐(245명, 38.6%)가 가장 많이 발생
- 업종
·감소: 제조업(-19명)
·증가: 광업(+34명), 건설업(+12명), 운수창고통신업(+12명), 기타의사업(+4명), 금융및보험업(+4명), 전기·가스·증기및수도사업(+1명), 임업(+1명), 농업(+1명)
·동일: 어업
- 규모
·감소: 1,000인 이상(-11명)
·증가: 5인 미만(+7명), 5인~49인(+18명), 50인~99인(+15명), 100인~299인(+15명), 300인~999인(+6명)
- 질병종류
·진폐(245명, 38.6%), 뇌심질환(198명, 31.2%), 직업성암(103명, 16.2%) 순
·감소: 유기화합물중독(-5명)
·증가: 진폐(+31명), 뇌심질환(+13명), 직업성암(+3명)
·동일: 난청, 금속및중금속중독, 기타화학물질중독, 신체부담작업, 요통
○ 재해자
- 기타의사업(25,328명, 37.0%), 5인~49인 사업장(27,125명, 39.6%), 60세 이상 근로자(25,990명, 38.0%), 넘어짐(14,119명, 20.6%)이 가장 많이 발생
- 업종
·감소: 제조업(-364명), 임업(-57명), 전기·가스·증기및수도사업(-18명)
·증가: 운수창고통신업(+1,530명), 건설업(+603명), 기타의사업(+392명), 농업(+27명), 광업(+20명), 어업(+5명), 금융및보험업(+2명)
- 규모
·감소: 5인~49인(-1,075명), 50인~99인(-121명), 100인~299인(-15명)
·증가: 5인 미만(+2,690명), 300인~999인(+359명), 1,000인 이상(+302명)
- 재해유형
·넘어짐(14,119명, 20.6%), 떨어짐(7,024명, 10.3%), 끼임(6,410명, 9.4%),부딪힘(5,216명, 7.6%), 절단·베임·찔림(4,858명, 7.1%) 순
·감소: 넘어짐(-346명), 물체에맞음(-160명), 끼임(-58명)
·증가: 부딪힘(+411명), 교통사고(+333명), 무리한동작(+278명), 절단·베임·찔림(+208명), 떨어짐(+107명), 깔림·뒤집힘(+59명), 무너짐(+7명), 화재·폭발·파열(+3명)
○ 사고재해자
- 기타의사업(22,741명, 40.8%), 5인~49인 사업장(22,407명, 40.2%), 60세 이상 근로자(18,082명, 32.4%), 넘어짐(14,119명, 25.3%)이 가장 많이 발생
- 업종
·감소: 건설업(-784명), 제조업(-190명), 임업(-71명), 전기·가스·증기및수도사업(-18명), 광업(-11명)
·증가: 운수창고통신업(+1,502명), 기타의사업(+425명), 금융및보험업(+19명), 농업(+17명), 어업(+3명)
- 규모
·감소: 5인~49인(-1,773명), 50인~99인(-147명), 100인~299인(-278명)
·증가: 5인 미만(+2,213명), 300인~999인(+264명), 1,000인 이상(+613명)
- 재해유형
·넘어짐(14,119명, 25.3%), 떨어짐(7,024명, 12.6%), 끼임(6,410명, 11.5%),부딪힘(5,216명, 9.4%), 절단·베임·찔림(4,858명, 8.7%) 순
·감소: 넘어짐(-346명), 물체에맞음(-160명), 끼임(-58명)
·증가: 부딪힘(+411명), 교통사고(+333명), 무리한동작(+278명), 절단·베임·찔림(+208명), 떨어짐(+107명), 깔림·뒤집힘(+59명), 무너짐(+7명), 화재·폭발·파열(+3명)
○ 질병재해자
- 제조업(4,177명, 33.0%), 5인~49인 사업장(4,718명, 37.3%), 60세 이상 근로자(7,908명, 62.5%), 신체부담작업(4,444명, 35.1%)이 가장 많이 발생
- 업종
·감소: 제조업(-174명), 기타의사업(-33명), 금융및보험업(-17명)
·증가: 건설업(+1,387명), 광업(+31명), 운수창고통신업(+28명), 임업(+14명), 농업(+10명), 어업(+2명)
·동일: 전기·가스·증기및수도사업
- 규모
·감소: 1,000인 이상(-311명)
·증가: 5인 미만(+477명), 5인~49인(+698명), 50인~99인(+26명), 100인~299인(+263명), 300인~999인(+95명)
- 질병종류
·신체부담작업(4,444명, 35.1%), 난청(3,038명, 24.0%), 요통(2,795명, 22.1%) 순
·감소: 뇌심질환(-15명), 금속및중금속중독(-12명)
·증가: 신체부담작업(+832명), 요통(+280명), 난청(+182명),진폐(+143명), 직업성암(+35명), 기타화학물질중독(+35명),유기화합물중독(+1명)